sitelink1  
sitelink2  
sitelink3 http://1 
sitelink4 http://ko 
sitelink5 http://www.okjsp.pe.kr/seq/25478 
sitelink6 http://sitelink1 
/*
이 강좌는 자바의 기초가  잡혀 있고 응용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한 것입니다.
 
제목 : 숫자의 형식화 #1(Part-1)-java.text.NumberFormat
 
   Part 1에서는 숫자를 문자로 형식화 하는 것에 대해 알아 보고 part 2에서는 이미 형식화가 되어 있는 문자형 숫자를 숫자로 변환, 재차 다른 포맷으로 형식화를 하는 것에 대해 알아 보겠다.
 
우리는 일상에서 수를 표현 할 때 10,000, 98.7% 등의 형식화를 해서 표현 한다. 그러나 컴퓨터에서 기본 지원하는 형식은 일상의 형식화와 상관 없는 순수한 숫자로만 이루어 지고 있다. 이번에는 그러한 숫자를  형식화 해서 나타내는 방벙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
 
숫자의 형식화를 위한 대표적인 클래스는 java.text.NumberFormat 클래스이다. 이는 java.text.Format 클래스를 상속 받고 있으며 각종 숫자에 대한 형식화를 할 수 있는 메쏘드들을 내장하고 있다.
 
NumberFormat 클래스는 여러 형태의 NumberFormat의 instance를 얻을 수 있는 getXxxInstance()등과 같은 static method들을 제공 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NumberFormat.getInstance() : NumberFormat의 기본 instance을 반환 한다. 이는 getNumberInstance()를 호출 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NumberFormat.getCurrencyInstance() : 이 메소드는 금액 앞에 통화기호를 그리고  각 단위마다 ","를 표현 할 수 있는 NumberFormat의 instance를 반환 한다.
 
-. NumberFormat.getPercentInstance() : 이 메소드는 숫자에 "%"를 표시 할 수 있는 instance를 반환 한다.
 
-. NumberFormat.getIntegerInstance() : 실수를 반 올림 해서 표현 할 수 있는 instance를 반환 한다.
 
위에 언급된 getXxxInstance()류는 모두 Default Locale을 사용 한 것이며 특정 Locale로 표현 하고 싶을 때는 NumberFormat.getInstance( Locale loc )등과 같이 Locale을 지정 해주면 된다.
 
1. 가장 기본이 되는 getInstance()를 사용한 예제.
    import java.text.NumberFormat;
    import java.util.Locale;
    public class NumberFormatTest{
        long long_01 = 1000000L;
        double double_01 = 1234567890.888;
        public void doInstance(){
            NumberFormat nf = NumberFormat.getInstance();
            print( nf, long_01 );
            print( nf, double_01 );
        }
        public void doNumberInstance(){
            NumberFormat nf = NumberFormat.getNumberInstance();
            print( nf, long_01 );
            print( nf, double_01 );
        }
        //가독성을 위해 long L로 사용함.
        private void print( NumberFormat nf, long L ){
            System.out.println( "format of long value : " + nf.format( L ) );
        }
        private void print( NumberFormat nf, double d ){
            System.out.println( "format fo double value : " + nf.format( d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umberFormatTest nft = new NumberFormatTest();
            nft.doInstance();
            nft.doNumberInstance();
        }
    }
    결과 :
    ============================================
    format of long value : 1,000,000
    format fo double value : 1,234,567,890.888
    --------------------------------------------
    format of long value : 1,000,000
    format fo double value : 1,234,567,890.888
    ============================================
위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getInstance()를 사용 했을 때와 getNumberInstance()를 이용 했을 때 모두 같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getCurrencyInstance()를 사용한 예제.
*/
    /*
    import java.text.NumberFormat;
    import java.util.Locale;
    public class NumberFormatTest{
        long long_01 = 1000000L;
        double double_01 = 1234567890.8888889;
        public void doCurrencyUsingDefaultLocale(){
            NumberFormat nf = NumberFormat.getCurrencyInstance();
            print( nf, long_01 );
            print( nf, double_01 );
            //소수점 이하 최대 자리를 지정한다.
            nf.setMaximumFractionDigits( 3 ) ;
            print( nf, double_01 );
        }
        public void doCurrencyUsingSpecificLocale(){
            NumberFormat nf = NumberFormat.getCurrencyInstance( Locale.JAPAN );
            print( nf, long_01 );
            print( nf, double_01 );
            nf = NumberFormat.getCurrencyInstance( Locale.US );
            print( nf, long_01 );
            print( nf, double_01 );
           
            //소수점 이하 최대 자리를 지정한다.
            nf.setMaximumFractionDigits( 1 ) ;
            print( nf, double_01 );
        }
        //가독성을 위해 long L로 사용함.
        private void print( NumberFormat nf, long L ){
            System.out.println( "format of long value : " + nf.format( L ) );
        }
        private void print( NumberFormat nf, double d ){
            System.out.println( "format of double value : " + nf.format( d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umberFormatTest nft = new NumberFormatTest();
            nft.doCurrencyUsingDefaultLocale();
            nft.doCurrencyUsingSpecificLocale();
        }
    }
    */
    /*
    결과 :
    =========================================
    format of long value : ₩1,000,000
    format of double value : ₩1,234,567,891
    format of double value : ₩1,234,567,890.889
    -----------------------------------------
    format of long value : ¥1,000,000
    format of double value : ¥1,234,567,891
    -----------------------------------------
    format of long value : $1,000,000.00
    format of double value : $1,234,567,890.89
    format of double value : $1,234,567,890.9
    ========================================
결과를 살펴 보면 해당 국가의 통화 기호가 앞에 표시 되는 걸 볼 수 있다. 특이한 것은 바로 이전의 예제와는 달리 setMaximumFractionDigits( int value )이라는 메소드가 사용 된 점이다.
setMaximumFractionDigits( int value) 는 최대로 표현 할 수 있는 소수점 이하 자리를 지정 할 때 사용된다. 이 메소드를 사용 하면 지정한 바로 다음 소수자리에서 반올림이 되고 그 이하 자리는 가차 없이 버려진다.
 
3. getPercentInstance()를 사용한 예제.
*/
    import java.text.NumberFormat;
    import java.util.Locale;
    public class NumberFormatTest{
        long long_01 = 3L;
        double double_01 = 0.897659;
        public void doPercentInstanceUsingDefaultLocale(){
            NumberFormat nf = NumberFormat.getPercentInstance();
            print( nf, long_01 );
            //최소한 표현 되어야 할 소수 자리를 지정한다.
            nf.setMinimumFractionDigits(1);
            print( nf, long_01 );
            print( nf, double_01 );
            //소수점 이하 최대 자리를 지정한다.
            nf.setMaximumFractionDigits( 3 ) ;
            print( nf, double_01 );
        }
        //가독성을 위해 long L로 사용함.
        private void print( NumberFormat nf, long L ){
            System.out.println( "format of long value : " + nf.format( L ) );
        }
        private void print( NumberFormat nf, double d ){
            System.out.println( "format of double value : " + nf.format( d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umberFormatTest nft = new NumberFormatTest();
            nft.doPercentInstanceUsingDefaultLocale();
        }
    }
    /*
    결과 :
    ===========================================
    format of long value : 300%
    format of long value : 300.0%
    -------------------------------------------
    format of double value : 89.8%
    format of double value : 89.766%
    ===========================================
결과는 위와 같다. 여기서는 setMinimunFractionDigits( int value )라는 메소드가 사용 되었는데 이는 최소한 표현을 해야 하는 소수점 이하 자리를 지정한다. 이를 지정하지 않으면 정수의 경우 소수점은 표시 되지 않는다.  getPercentInstance()를 사용하면 퍼센트(%)로 형식화 하는데 아주 편리하다.
 
이외에도 유용한 메소드로는 setGroupingUsed( boolean used )라는 메소드가 있는데 이 메소드를 통해 1000단위로 ","의 사용 여부를 결정해서 쓸 수 있다.
 
NumberFoamat.getIntegerInstance()는 위의 예제를 참고하여 직접 한 번 테스트를 해 보기 바란다.
이상으로 java.text.NumberFormat 클래스를 이용해 숫자에 관한 다양한 형식화를 알아 보았다. 위 예제가 충분치 않거나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 싶은 사람은 관련 서적과 API를 참조 하기 바란다.
 
Part 2 에서는 이미 형식화 되어 있는- 123,567,980 과 같은 형태 - 문자를 숫자로 바꾸어 다시 다른 형태의 형식화를 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
 
강좌 내용 중 잘 못 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수정 보완 하겠습니다!^^;
====================================
2002.12.03-00:10 너부리 - 최인국(희선)
------------------------------------
이 문서는 자유롭게 배포 할 수 있으나 서
명은 삭제 할 수 없습니다^^
------------------------------------
http://www.jspnet.com
neoburi at javaxcafe.com-NO-SPAM
msn:decode40 at hotmail.com-NO-SPAM
ICQ : 100033382
====================================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사용팁 황제낙엽 2008.07.24 698
145 문자열 처리 - StringTokenizer 와 String.split() 황제낙엽 2008.07.08 658
» 숫자의 형식화 #1(Part-1)-java.text.NumberFormat 황제낙엽 2008.07.08 715
143 숫자 에 대응 되는 문자의 형식화 #2 황제낙엽 2008.07.08 709
142 숫자 에 대응 되는 패턴의 형식화 #1 황제낙엽 2008.07.08 730
141 숫자를 통화 표기 형태로 변환하기 황제낙엽 2008.07.08 694
140 NumberFormat, DecimalFormat 사용예 황제낙엽 2008.07.08 686
139 파일의 내용을 읽어 String 객체로 만드는 함수 황제낙엽 2008.06.17 538
138 UTF형태 파일에서 BOM 제거하기 황제낙엽 2008.06.16 2542
137 불러온 txt파일의 Encoding을 알 수는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황제낙엽 2008.06.16 623
136 FileFilter, FilenameFilter 클래스를 이용한 파일 또는 디렉토리 리스트 추출하기 황제낙엽 2008.06.16 764
135 정규식 사용예제 [2] 황제낙엽 2008.06.11 674
134 정규식 사용예제 [1] 황제낙엽 2008.06.11 729
133 StringBuffer vs String 황제낙엽 2008.06.10 485
132 작지만 강력한 HTML 파서, HtmlCleaner, html parser 황제낙엽 2008.06.10 682
131 Jericho HTML Parser 황제낙엽 2008.06.10 821
130 JTidy(HTML Parser) How to 황제낙엽 2008.06.10 777
129 NekoHTML 샘플 예제 황제낙엽 2008.06.09 605
128 YGHTML Parser 0.1.1 샘플 예제 황제낙엽 2008.06.09 622
127 HTML Paser 의 종류 황제낙엽 2008.06.09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