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sitelink2  
sitelink3  

이클립스와 톰캣을 연동하여 실행하는데 프로젝트 설정에서 'Java Build Path/Source' 에 'src/main/java' 와 'src/test/java' 를 지정하였는데

테스트용 서블릿이 'src/main/java' 에서만 인식되었다.

이에 대해 gpt 에게 물어서 납득이 가는 답변을 얻었다.

답변 내용중 '웹 어플리케이션 구조의 표준화' 문제로 보인다.

'src/test/java' 경로에는 단위 테스트용 클래스만 위치시켜야 했다.

 

다음은 gpt 답변의 전문이다.

[질문]

eclipse 에서 project 의 java build path / source 에 main 폴더와 test 폴더 2개를 지정하고 tomcat 을 연동하여 project 를 실행했을때 서블릿 클래스를 test 에 생성하면 url 접근이 되지 않고 동일한 내용의 서블릿 클래스를 main 에 생성하면 정상적으로 url 접근이 가능하다면 그 원인과 해결책을 알려줘

 

project 환경은 다음과 같아

- java version : 17

- tomcat version : 11

- eclipse version : 4.34.0


이 문제는 Java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젝트의 빌드 경로Tomcat 서버 설정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원인 분석

  1. 빌드 경로 차이
    main 폴더는 일반적으로 프로덕션 코드를 포함하며, 이를 Tomcat 서버가 실행 시 배포 경로에 포함시킵니다.
    반면, test 폴더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코드를 포함하는데, 이는 Tomcat이 배포 경로로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est 폴더에 있는 서블릿 클래스는 Tomcat 서버에 의해 로드되지 않습니다.

  2. Tomcat 배포 시 컨텍스트 경로에 포함되지 않음

    • Tomcat은 WEB-INF/classes에 위치한 클래스를 기본적으로 읽어들입니다.
    • test 폴더는 Maven 표준 디렉터리 구조나 Eclipse의 프로젝트 구성 상, 테스트 코드만을 포함하며 빌드 아티팩트로 배포되지 않습니다.
  3.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의 표준화
    Java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블릿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src/main/java에 위치해야 합니다.
    src/test/java는 단위 테스트용 코드만 포함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해결 방법

1. 서블릿 클래스를 src/main/java로 이동

  • 서블릿 클래스는 반드시 src/main/java에 위치해야 Tomcat이 이를 인식하고 요청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 src/test/java에 위치한 클래스는 테스트 실행 시만 사용되므로, 실제 서버 배포 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2. 테스트용 서블릿 클래스를 따로 실행하려면

만약 src/test/java에 서블릿 클래스를 유지하고 싶다면,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세요:

(1) test 디렉토리를 배포 경로에 포함

  • Eclipse에서 Java Build Path를 열어 Source 탭에서 src/test/java를 추가합니다.
  • 이후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Tomcat 서버를 재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테스트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프로덕션 코드와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2) 독립적인 테스트 서버 사용

  • 테스트 환경에서만 사용할 Tomcat 인스턴스를 별도로 구성하여 테스트 코드를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Maven 표준 디렉터리 구조를 유지

Maven 표준 구조를 따른다면:

  • 프로덕션 코드는 src/main/java에 위치
  • 테스트 코드는 src/test/java에 위치

Maven을 사용 중이라면 mvn clean package로 빌드하면, src/main/java의 코드만 포함됩니다.

추가 확인 사항

  • Tomcat 로그 확인:
    Tomcat 실행 로그에 클래스 로드 오류나 경로 문제와 관련된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습니다.

  • Eclipse 설정 확인:

    • Deployment Assembly에서 src/test/java가 배포 경로(WEB-INF/classes)에 포함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 정상적인 서블릿 URL 매핑:
    web.xml이나 @WebServlet 애노테이션으로 URL 매핑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이 설정을 따라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추가적으로 오류 로그를 공유해 주시면 더 자세히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프로젝트 Source 폴더에 지정한 서블릿이 웹서비스에서 인식하지 않는 문제 황제낙엽 2025.01.04 96
79 [phind/Buildship Gradle Integration 3.0] Preferences / Gradle / Gradle distribution 에 대한 설명 황제낙엽 2024.11.11 87
78 STS (Eclipse)에서 Language Server 동작 비활성화 하기 file 황제낙엽 2023.12.28 835
77 eclipse 에서 build.gradle 수정시 프로젝트에 자동 반영 황제낙엽 2023.12.28 112
76 IntelliJ 의 ultimate(상용) 와 community(무료) 버전의 차이 file 황제낙엽 2023.11.01 908
75 eclipse tomcat 에 ssl 적용 황제낙엽 2023.09.10 148
74 localhost 는 접속 가능한데 도메인으로는 접속이 불가 황제낙엽 2023.08.13 105
73 remote desktop 에서 vscode 로 작업시 키입력이 되지 않을때 (from bing) 황제낙엽 2023.07.25 833
72 Eclipse, Gradle 프로젝트 생성, Dynamic Web Project 로 변경 황제낙엽 2023.07.12 185
71 로컬 작업 중 모바일로 페이지 확인하는 방법 live server host file 황제낙엽 2023.05.23 107
70 유용한 단축키 모음 - 개발을 누구보다 빠르게 황제낙엽 2023.02.25 78
69 vector 이미지 만들기 황제낙엽 2022.12.22 71
68 자동 import 설정 file 황제낙엽 2022.12.22 89
67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자주 쓰는 단축키 20개 황제낙엽 2022.11.11 78
66 Android Studio GitHub 공유하기 및 사용하기 황제낙엽 2022.11.02 67
65 코드 포맷터 (Extension Prettier - Code formatter) file 황제낙엽 2021.01.16 82
64 디버깅 관련 (SourceMap, Debugger for Chrome, Node.js) 황제낙엽 2020.08.18 75
63 vscode에서 기본 디버깅과 프로세스 디버깅 file 황제낙엽 2020.08.16 226
62 웹 UI 개발을 위한 Visual Studio Code 설정 황제낙엽 2020.05.23 183
61 APK파일 생성 (명령줄에서 앱 빌드) 황제낙엽 2019.10.08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