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extra_vars5 | |
extra_vars6 |
Struts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개발 전략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대부분의 팀원들이 스트러츠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스트러츠는 이미 자바지기에도 훌륭한 강좌가 개설되어 있으니 이번 스터디에서 굳이 따로 설명을 하지는 않으려 한다.
'스트러츠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개발'이라는 주제에 걸맞게
이번에는 본인이 모 프로젝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전에 이런 틀로 대부분의 모듈들이 다 만들어져 있었다.. ㅡㅡ)
Struts + Hibernate, Velocity, DWR(Dinamic Web Remoting)를 주로 살펴보려한다.
아울러 이미 스트러츠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기를 바란다.
Struts
자바지기의 훌륭한 스트러츠 강좌를 참고하자.
Struts with Spring
스트러츠와 스프링을 함께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박재성씨에게 듣기로 하자.
Struts + Hibernate, Velocity, DWR

위와 같은 Model 2 구조에서
스트러츠가 controller, 하이버네이트가 Model과 데이터소스의 연결, 벨로시티와 DWR이 View 부분을 담당한다고 쉽게 생각하면 되겠다.
Hibernate
하이버네이트는 OR(Object/Relation) Mapping을 통해서 데이터소스를 더 쉽게 Model에 전달하거나
Model에 넘어온 데이터가 더 쉽게 데이터소스에 저장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이버네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ibernate reference Documentation 에서 살펴보고,
차주에 하이버네이트 스터디가 진행될 예정이니 그 때 더 많은 것을 공부하도록 하자.
Velocity
벨로시티는 VTL(Velocity Template Language)이라는 템플릿 언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일종의 템플릿 엔진이다.
사용하고자 하는 자바빈 클래스를 일정한 규약에 맞게 등록하면 View(JSP)에서 자바빈과 그 필드들을 쉽고 간결하게 호출할 수 있다.
벨로시티는 자카르타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Velocity User Guide 를 참조하자.
DWR
DWR은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툴로
간단한 XML 설정을 통해 View(JSP)의 java script에서 java class의 method를 직접 호출하여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DWR index page
관련문서
DWR을 사용하는 예제가 담긴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제가 만든게 아니라... 저희 팀에서 DWR을 사용하자고 제안한 사람 - 김재탁 대리) 올렸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압축을 풀어 tomcat 등을 사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적용의 예
실제 적용한 예를 살펴봅니다.
Struts를 이용한 효율적인 개발에 대해...
Struts를 이용한 효율적인 개발에 대해 토론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