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eclipse 에 생성한 gradle web project 에서 gradle refresh 할때마다 context root 가 초기화 되는 현상의 원인과 해결책을 gpt 에게 물어보았다.
Eclipse에서 Gradle로 생성한 웹 프로젝트에서 Gradle Refresh를 할 때마다 context root가 초기화되는 현상은 Gradle과 Eclipse 간 설정 충돌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Gradle이 Eclipse의 설정을 덮어쓰거나 Eclipse의 project metadata에 context root 설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원인
Gradle에서 Eclipse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eclipse-wtp 플러그인이 사용되며, 이 플러그인은 프로젝트의 context root 설정을 포함한 여러 Eclipse 웹 프로젝트 관련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하지만, build.gradle 파일에 context root 관련 설정이 명시되지 않으면, 기본 설정으로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build.gradle 파일에 context root 설정 추가
build.gradle 파일에 eclipse 또는 eclipse-wtp 플러그인을 사용해 context root를 명시적으로 설정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plugins {
id("eclipse-wtp")
}
eclipse {
wtp {
component {
contextPath = 'your-context-root' // 원하는 context root로 설정
}
}
}
Gradle을 Refresh할 때마다 이 설정이 적용되며, context root가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2. Eclipse에서 수동으로 설정 후 Gradle Build 자동화 방지
수동으로 context root를 설정한 후, Gradle에서 Eclipse 설정 파일을 덮어쓰지 않도록 build.gradle 파일에서 eclipse-wtp 관련 자동화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tasks.named("eclipseWtpComponent").configure {
enabled = false
}
이 방식은 context root 설정을 수동으로 관리하도록 해줍니다.
3. eclipse 설정을 커스터마이징한 후 Refresh 수행
Gradle 설정에 context root를 명시하고 나서 Eclipse에서 Refresh Gradle Project를 수행하면 context root가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 방법을 통해 Gradle 프로젝트를 Refresh할 때 context root 초기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2번을 수행해봤지만 프로젝트 빌드 오류가 발생한다.
현재는 1번 방안만으로 해결이 가능해서 나머지는 2번, 3번은 참고용으로 기록해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