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extra_vars6 |
※ DNS서버를 윈도우XP에서도 운용할 수 있다니 정말 놀라운 일이다.
설치도 어렵지 않고 리눅스에서 만큼 어렵지 않았던것 같다. 리눅스에서 DNS를 운용해 보았던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 이글은 DNS서버를 운용해보고자 하는 윈도우 사용자를 위해서 적은다.
참고는 자유이나 추후 발생하는 어떤 문제에도 책임질 수 없다..ㅋㅋㅋ
그럼 시작 해볼까나...!
1. 다운로드(http://www.isc.org)
- 아래 그림처럼 윈도용 최신버전을 다운받는다.(그림을 클릭하면 잘 보일것이다.)
- BIND9.3.2.zip를 다운받았으면 압축을 풀고 폴더를 확인한다.다음과 같을 것이다.
2. 설치
- BINDinstall.exe를 실행시킨다.
① 설치할 경로를 지정한다. 없다면 생성할것인가라는 창이뜬다. 필자는 C:dns로 지정했다.
② 패스워드를 적는다..솔직히 왜 적는지 모르겠다. 3번은 확인차 적는것이다.
④ install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3. 설정
- 설치후 c:dns 폴더를 확인하면 bin과 etc폴더가 생성되어 있음을 알수있다.
- bin 폴더에는 프로세서를 실행할수 있는 파일들이 있고, etc 폴더는 비어있다.
- 이상태로는 아무것도 실행을 할 수 없다.
- 기본적으로 named.conf 파일과 ****.zone 파일 ****.zone.rev파일 named.ca파일은 존재해야한다.
- 필자는 위 파일 모두를 etc폴더에 위치시켰다.
- 어떤 경로에서 프로세서를 실행할 수 있도록 Path에 C:dnsbin 을 추가하자
[path추가]
- 시스템등록정보 -> 고급 -> 환경변수로 들어간다.
- 편집클릭
- 다음을 추가한다.
- 확인 -> 확인 -> 확인
- 이젠 도스창 어느경로에서든 DNS관련 프로세서를 실행시킬 수 있다.
[named.conf 파일 살펴보기]
- 여기까지 필자의 폴더를 한번 살펴보겠다.
- bin 폴더는 설치때 생성된것이라 모두 같을 것이다.
- etc 폴더에는 필자가 4개의 파일을 생성했다.
- named.conf 를 살펴보자
- 위 분홍색 부분이 중요하다. test.zone 와 test.zone.rev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부분이다.
리눅스와 차이점은 경로지정이다.
- test.zone 파일과 test.zone.rev 파일은 리눅스에서 작성법과 같다. 인터넷상에 많이 있으므로 따로 올리지는 않겠다.
[rndc.key생성 rndc.conf설정]
- rndc.key 생성
- 시작 -> 실행 -> cmd 도스창을 띄운후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그림을 클릭하면 자세히 보일것이다)
- c:dnsetc 폴더에 rndc.key와 rndc.conf 가 생성되었다.
- rndc.conf 설정
- 위와 같이 수정한다.
4. 실행
- 실행은 아래와 같이 한다.(command창에서)
>named.exe -g <---요렇게 실행한다.



- 현재는 서비스가 중지된 상태이다.

- 서비스 시작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