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sitelink4 | |
sitelink5 | |
sitelink6 |
URL url = new URL("http://localhost/serlvet/TestServlet");
httpConn = url.openConnection();
httpConn.setDoOutput(true);
httpConn.setUseCaches(false);
out = new PrintWriter(httpConn.getOutputStream());
out.print("userid=00010&name=한글&address=한글&telephone=000-1111");
out.flush();
out.close();
==>
URL url = new URL("http://localhost/serlvet/TestServlet");
httpConn = url.openConnection();
httpConn.setDoOutput(true);
httpConn.setUseCaches(false);
out = new PrintWriter(httpConn.getOutputStream());
String hangul = "한글";
String hangul_8859_1 = new String(hangul.getBytes("KSC5601"), "8859_1");
// String url_encoded_hangul_8859_1 = java.net.URLEncoder.encode(hangul_8859_1);
String data =
"userid=00010&name=" + hangul_8859_1 +
"&address=" + hangul_8859_1 +
"&telephone=000-1111";
out.print(data);
out.flush();
out.close();
HTTP 프로토콜의 경우 GET방식이든 POST 방식이든, 서버측으로 넘어갈 때는
RFC 규약상 항상 "8859_1" 인코딩으로 넘어가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받는 측에서 그렇게 넘어온 "8859_1" 스트링을 어떤 캐릭터셋으로 다시
변경할 것인가는 해당 서블렛엔진의 몫이지요.
결국, "자바어플리케이션"에서 POST 방식으로 서블렛을 호출하여 데이타를
넘겨줄 때는 "8859_1" 으로 인코딩된 데이타를 넘겨야 합니다.
현재 자바어플리케이션의 file.encoding 시스템 Property 값은 "KSC5601"이거나
이에 준하는 한글 인코딩 상태겠지요.. 다음을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System.out.println(System.getProperty("file.encoding"));
따라서 캐릭터셋 인코딩 변환과정의 적용여부는 현재의 file.encoding 값이 뭐냐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pplet 에서 서블렛으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 호출하는 경우, Applet 의
기본적인 file.encoding 값은 8859_1 으로 마추어져 있습니다. 결국 Applet 의 경우는
위와 같은 인코딩 단계를 거치면 오히려 안되는 거지요.
PS: 위에서 주석처리해 둔 url_encoded_hangul_8859_1 은 %xx%xx%xx%xx 형태로
URL 인코딩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POST 방식에서는 URL 인코딩을 하여 넘기거나,
혹은 하지 않거나 상관이 없습니다. 서블렛엔진이 파싱할 때, URL인코딩된 부분을 다시
복원하여 원본스트링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결국 같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출처 :: javaservice.net (이원영)
httpConn = url.openConnection();
httpConn.setDoOutput(true);
httpConn.setUseCaches(false);
out = new PrintWriter(httpConn.getOutputStream());
out.print("userid=00010&name=한글&address=한글&telephone=000-1111");
out.flush();
out.close();
==>
URL url = new URL("http://localhost/serlvet/TestServlet");
httpConn = url.openConnection();
httpConn.setDoOutput(true);
httpConn.setUseCaches(false);
out = new PrintWriter(httpConn.getOutputStream());
String hangul = "한글";
String hangul_8859_1 = new String(hangul.getBytes("KSC5601"), "8859_1");
// String url_encoded_hangul_8859_1 = java.net.URLEncoder.encode(hangul_8859_1);
String data =
"userid=00010&name=" + hangul_8859_1 +
"&address=" + hangul_8859_1 +
"&telephone=000-1111";
out.print(data);
out.flush();
out.close();
HTTP 프로토콜의 경우 GET방식이든 POST 방식이든, 서버측으로 넘어갈 때는
RFC 규약상 항상 "8859_1" 인코딩으로 넘어가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받는 측에서 그렇게 넘어온 "8859_1" 스트링을 어떤 캐릭터셋으로 다시
변경할 것인가는 해당 서블렛엔진의 몫이지요.
결국, "자바어플리케이션"에서 POST 방식으로 서블렛을 호출하여 데이타를
넘겨줄 때는 "8859_1" 으로 인코딩된 데이타를 넘겨야 합니다.
현재 자바어플리케이션의 file.encoding 시스템 Property 값은 "KSC5601"이거나
이에 준하는 한글 인코딩 상태겠지요.. 다음을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System.out.println(System.getProperty("file.encoding"));
따라서 캐릭터셋 인코딩 변환과정의 적용여부는 현재의 file.encoding 값이 뭐냐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pplet 에서 서블렛으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 호출하는 경우, Applet 의
기본적인 file.encoding 값은 8859_1 으로 마추어져 있습니다. 결국 Applet 의 경우는
위와 같은 인코딩 단계를 거치면 오히려 안되는 거지요.
PS: 위에서 주석처리해 둔 url_encoded_hangul_8859_1 은 %xx%xx%xx%xx 형태로
URL 인코딩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POST 방식에서는 URL 인코딩을 하여 넘기거나,
혹은 하지 않거나 상관이 없습니다. 서블렛엔진이 파싱할 때, URL인코딩된 부분을 다시
복원하여 원본스트링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결국 같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출처 :: javaservice.net (이원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