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sitelink4 | |
sitelink5 | |
sitelink6 |
`<jsp:include>`에서 `flush="true"`를 설정하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문제점
1. **출력 버퍼의 조기 플러시**:
- `flush="true"`를 설정하면 JSP 컨테이너가 지정된 페이지의 콘텐츠를 포함하기 전에 출력 버퍼를 강제로 플러시합니다. 이로 인해 이후에 응답 헤더나 상태 코드를 수정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유연성 상실**:
- 출력이 플러시된 후에는 응답 헤더를 수정하거나 다른 상태 코드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응답을 최종적으로 처리하기 전에 추가적인 확인이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유연성을 감소시킵니다.
3. **성능 오버헤드**:
- 출력 버퍼를 플러시하는 작업 자체가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버퍼가 큰 경우 플러시 작업은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초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4. **일관성 문제**:
- 버퍼가 너무 일찍 플러시되면 이후의 다른 include나 forward 동작에서 출력의 일관성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이는 JSP 페이지의 디버깅과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상세 설명
#### 1. 출력 버퍼의 조기 플러시
`flush="true"`를 지정하면, JSP 컨테이너는 지정된 페이지의 콘텐츠를 포함하기 전에 버퍼를 플러시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전에 버퍼에 쌓인 모든 내용이 클라이언트로 전송되고 버퍼가 비워집니다. 문제는 버퍼가 플러시된 후에는 서버가 더 이상 응답 헤더나 상태 코드를 수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예시:
```jsp
<%@ page buffer="8kb" %>
<jsp:include page="includedPage.jsp" flush="true" />
<%
// flush="true"가 설정된 후에는 아래 코드가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OK); // 응답 상태 코드 설정
response.setHeader("Custom-Header", "Value"); // 응답 헤더 설정
%>
```
위의 코드에서 `flush="true"`를 설정하면, `includedPage.jsp`가 포함되기 전에 버퍼가 플러시되어 응답 헤더나 상태 코드를 설정하려는 시도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Oracle JSP Documentation](https://docs.oracle.com/javaee/6/tutorial/doc/bnafd.html)
- [Baeldung: JSP Include](https://www.baeldung.com/jsp-include-tag)
- [JavaTpoint: JSP Action Tags](https://www.javatpoint.com/jsp-action-tags)
이와 같은 문제들을 고려하여 `flush="true"`를 사용하지 않거나,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jsp:include>`에서 `flush="true"`를 사용하는 대신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러한 대안은 버퍼의 조기 플러시로 인한 문제를 피하면서 더 유연하게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대안 방법
1. **수동 플러시 사용**:
- `<jsp:include>`의 `flush` 속성 대신, JSP 코드에서 수동으로 버퍼를 플러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응답 흐름을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jsp
<%@ page buffer="8kb" %>
<jsp:include page="header.jsp" />
<% out.flush(); %> <!-- 버퍼를 수동으로 플러시 -->
<jsp:include page="content.jsp" />
<jsp:include page="footer.jsp" />
```
2. **동적 콘텐츠를 위한 서블릿 사용**:
- include 로직을 서블릿으로 오프로드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응답에 대한 제어를 더 쉽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jsp
<%@ page buffer="8kb" %>
<jsp:include page="/DynamicContentServlet" />
```
`DynamicContentServlet`에서:
```java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questDispatcher header = request.getRequestDispatcher("header.jsp");
header.include(request, response);
// 추가 로직이나 콘텐츠 포함
RequestDispatcher content = request.getRequestDispatcher("content.jsp");
content.include(request, response);
RequestDispatcher footer = request.getRequestDispatcher("footer.jsp");
footer.include(request, response);
}
```
3. **프래그먼트 캐싱**:
- 포함된 콘텐츠가 자주 변경되지 않는 경우 프래그먼트 캐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플러시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jsp
<c:if test="${not empty cachedHeader}">
<%= cachedHeader %>
</c:if>
<c:if test="${empty cachedHeader}">
<jsp:include page="header.jsp" />
<!-- 필요시 header.jsp의 출력을 캐시 -->
</c:if>
<jsp:include page="content.jsp" />
<c:if test="${not empty cachedFooter}">
<%= cachedFooter %>
</c:if>
<c:if test="${empty cachedFooter}">
<jsp:include page="footer.jsp" />
<!-- 필요시 footer.jsp의 출력을 캐시 -->
</c:if>
```
4. **JSTL을 사용한 조건부 include**:
- JSTL(JavaServer Pages Standard Tag Library)을 사용하여 조건부 논리를 적용하고, 조건에 따라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버퍼 플러시 없이 콘텐츠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jsp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
<c:choose>
<c:when test="${someCondition}">
<jsp:include page="header.jsp" />
</c:when>
<c:otherwise>
<jsp:include page="alternateHeader.jsp" />
</c:otherwise>
</c:choose>
<jsp:include page="content.jsp" />
<jsp:include page="footer.jsp" />
```
### 결론
이러한 대안 방법들을 사용하면 버퍼 플러시로 인한 문제를 피하면서도 더 유연하게 JSP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응답 헤더나 상태 코드를 동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경우, 수동 플러시나 서블릿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 참고 자료
- [Oracle JSP Documentation](https://docs.oracle.com/javaee/6/tutorial/doc/bnafd.html)
- [Baeldung: JSP Include Tag](https://www.baeldung.com/jsp-include-tag)
- [JavaTpoint: JSP Action Tags](https://www.javatpoint.com/jsp-action-tags)
이 자료들은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