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sitelink4 | |
sitelink5 | |
sitelink6 |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JSP 페이지가 한글을 제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이는 JSP 파일, 서블릿, 웹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인코딩 설정을 올바르게 구성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1. JSP 파일에서 인코딩 설정
각 JSP 파일의 맨 위에 페이지 지시어를 추가하여 인코딩을 UTF-8로 설정합니다.
```jsp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또는 XML 구문을 사용하는 경우:
```jsp
<jsp:directive.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
### 2. 서블릿에서 요청 및 응답 인코딩 설정
서블릿에서 처리하는 모든 요청과 응답에 대해 인코딩을 설정합니다.
이는 `doGet`이나 `doPost` 메서드 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java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 your code here
}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 your code here
}
```
### 3. `web.xml`에 필터 설정
웹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인코딩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web.xml`에 인코딩 필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요청과 응답에 대해 인코딩이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 `web.xml`
```xml
<filter>
<filter-nam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init-param>
<param-name>forceEncoding</param-name>
<param-value>true</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
Spring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직접 인코딩 필터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Custom CharacterEncodingFilter
```java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CharacterEncodingFilter implements Filter {
private String encoding;
public void init(FilterConfig filter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encoding = filterConfig.getInitParameter("encoding");
if (encoding == null) encoding = "UTF-8";
}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request.setCharacterEncoding(encoding);
response.setCharacterEncoding(encoding);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
public void destroy() {
// nothing to do
}
}
```
그리고 이를 `web.xml`에 등록합니다:
```xml
<filter>
<filter-nam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your.packag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Character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
### 4. 데이터베이스 연결 시 인코딩 설정 (Optional)
만약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에서도 인코딩 문제가 발생한다면, 데이터베이스 URL에 인코딩 설정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MySQL을 사용하는 경우:
```properties
jdbc:mysql://localhost:3306/yourdatabase?useUnicode=true&characterEncoding=UTF-8
```
### 요약
1. JSP 파일에서 인코딩을 UTF-8로 설정합니다.
2. 서블릿에서 요청 및 응답의 인코딩을 UTF-8로 설정합니다.
3. `web.xml`에 인코딩 필터를 설정하여 모든 요청과 응답에 대해 인코딩을 강제합니다.
4. (필요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연결 시 인코딩 설정을 추가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JSP 페이지에서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인코딩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