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extra_vars5 | |
extra_vars6 |
설치
- https://nginx.org/en/download.html 페이지에서 Stable version 을 다운받는다.
- 다운받은 파일을 원하는 폴더로 이동하여 압축을 해제한다. (install 이나 setup이 필요없다)
실행
- 압축 해제한 폴더에서 nginx.exe 를 실행한다.
> 윈도우 탐색기에서 실행한 경우 아무런 반응이 없다.
> 도스 커맨드 창을 열어 exe를 실행한 경우 프롬프트가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지만 아무런 내용도 출력되지 않는다. -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 을 열면 nginx 의 환영 메세지가 출력된다.
- nginx 를 종료하려면 커맨드창에서 "nginx.exe -s stop" 을 실행한다.
- 환경 파일을 수정하였을땐 커맨드창에서 "nginx.exe -s reload" 을 실행한다.
SSL
- nginx폴더/conf/nginx.conf 파일을 오픈한다.
- 하단에 "443 ssl" 에 대해 server 블럭이 주석되어 있는 것을 찾는다.
- 주석을 풀고 ssl_certificate 에는 인증서 파일을 지정하고, ssl_certificate_key 에는 개인키 파일을 지정한다.
> let's encrypt 인 경우 ssl_certificate 은 fullchain.pem 이고 ssl_certificate_key 는 privkey.pem 파일이다.
> 인증서 파일의 위치는 conf 파일 경로를 기준으로 상대 경로로 지정 할 수 있다.
프록시 설정
- 서비스중인 포트의 server 블럭을 카피하여 새로 생성한다.
- server_name 에 지정하려는 서브 도메인을 입력한다.
- location 에 포워딩 하려는 https://localhost:[포트] 주소를 입력한다.
- 다음은 서브도메인에 대한 포트포워딩 예제이다.
server {
listen 443 ssl;
server_name dev.mydomain.com;
ssl_certificate certs/fullchain.pem;
ssl_certificate_key certs/privkey.pem;
ssl_session_cache shared:SSL:1m;
ssl_session_timeout 5m;
ssl_ciphers HIGH:!aNULL:!MD5;
ssl_prefer_server_ciphers on;
location / {
proxy_pass https://localhost:8443;
}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 | [ChatGPT] nginx 에서 jetty 서버로 프록시중 "org.eclipse.jetty.http.BadMessageException: 400: Invalid SNI" 오류 | 황제낙엽 | 2024.11.12 | 167 |
5 |
Nginx: 413 – Request Entity Too Large
![]() | 황제낙엽 | 2024.02.17 | 213 |
» | nginx 설치, 실행, SSL 설정, 프록시 설정 | 황제낙엽 | 2024.02.04 | 129 |
3 | [bard] Nginx로 서브 도메인에 따라 내부의 포트만 다르게 실행중인 웹서버들을 라우팅 | 황제낙엽 | 2024.02.01 | 136 |
2 | [Bing] "Apache"와 "Nginx" 의 차이점 | 황제낙엽 | 2024.01.31 | 246 |
1 | Nginx 에 대하여 | 황제낙엽 | 2024.01.18 | 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