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https://m.blog.naver.com/mincoln419/222622140000 |
---|---|
sitelink2 | |
sitelink3 |
인텔리J에서는 gradle로 프로젝트 설정할 때 별 이슈는 없어 보이는데.. 이클립스에서는 뭔가 걸리는 게 있다.
이처럼 GradleTask 에서 bootRun 을 하거나 터미널에서 ./gredlew bootRun -Parg=..... 으로 실행했을 경우에는 잘돌아간다..
근데 그냥 이클리스에서 run as Java Application 이나 run as Spring Boot App .. 으로 실행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잘 설정해줬음에도 불구하고 빌드 자체를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batch'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dbc'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mysql:mysql-connector-java'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configuration-processor'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atch:spring-batch-test'
}
|
application.yml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datasource:
url: jdbc:mysql://127.0.0.1:3306/****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sername: ****
password: ****
jpa:
show-sql: true
generate-ddl: false
hibernate:
ddl-auto: create
batch:
jdbc:
initialize-schema: ALWAYS
|
뭐 bootRun 명령어로 실행시킬 수야 있지만... IDE 쓸때 만큼은 편하게 구동시키고 싶단 말이지..
그리고 배치 테스크 변경시 Program Argument 값을 변경시킬때도 번거롭다.
특히 junit 테스트 할때는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 ㅇㅅㅇ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eclipse_plugin.html

그레이들 공식문서를 뒤진 결과 기본적으로 gradle이 eclipse를 플러그인 내장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따로 설정해줘야한 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가이드 문서에서도 이클립스에서 사용할 거면 저 설정을 넣어주라더라 ㅇㅅㅇ.. (강의가 intelliJ로 하면 이런거 설명 안해주자나...ㅇㅅㅇ)
build.gradle 파일에
이 설정을 넣고
터미널에서
이 명령어를 치면
Eclipse가 gradle에 대한 기본설정(빌드 패스라던지 등등)을 delete 해주고 적용되는 gradle 버전에서 최적화된 eclipse 설정을 새롭게 세팅해서 build해준다는 의미이다.
터미널 환경에서 저렇게 명령어를 내리면 된다.
만약에
를 안넣는 경우라면 cleanEclipse라는 명령어는 없다는 오류가 뜰 것이다..
별거 아닌거 같지만 꼭 적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