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sitelink4 | |
sitelink5 | |
sitelink6 |

69 ~ 76 라인을 살펴보면
그림에서 보듯이 첫번째 문장과 두번째 문장은 육안으로 보기에 동일한 문자열을 가진다.
하지만 테스트케이스에 적힌대로 첫번째는 Patter매칭시 false를 리턴하고 두번째는 true를 리턴한다.
이것을 콘솔에 출력한 결과값 역시 서로 상이하다.
과연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
음... char배열로 출력해 보니 앞에 무언가 있었다.
첫번째 문장의 ? 가 궁금해졌다. (너의 정체는 뭐냐?)
앞에 캐릭터만 잘라다가 해쉬코드로 출력해 봤다.
Character sChar = new Character(source.charAt(0));
System.out.println(sChar+":"+sChar.hashCode());
결과 => ?:65279
65279? 이게 머지?
바로 BOM이었다.
당연히 제거해줘야 한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Methods of the Matcher Class | 황제낙엽 | 2010.01.19 | 431 |
12 |
Pattern.matches() , Matcher.matches() , Matcher.find()
![]() | 황제낙엽 | 2010.01.19 | 595 |
» | 같은 문자열인데도 정규식에서 해당 문자열을 파싱하지 못하는 경우 | 황제낙엽 | 2009.08.08 | 367 |
10 | 문자열 내의 공백을 제거하는 간단한 정규식 | 황제낙엽 | 2009.05.20 | 399 |
9 | 정규표현식을 사용하는 String클래스의 replaceAll() 함수 개량 | 황제낙엽 | 2009.02.09 | 507 |
8 | 입력받은 문자열의 의미가 숫자인지 단순 텍스트인지 판별해야 할 때 | 황제낙엽 | 2009.01.09 | 373 |
7 | 사용팁 | 황제낙엽 | 2008.07.24 | 296 |
6 | 정규식 사용예제 [2] | 황제낙엽 | 2008.06.11 | 384 |
5 | 정규식 사용예제 [1] | 황제낙엽 | 2008.06.11 | 436 |
4 | java String.replaceAll (String regex, String replacement) 쓸떄 조심할 것 | 황제낙엽 | 2008.05.22 | 424 |
3 | java String.replaceAll 잘쓰기 | 황제낙엽 | 2008.05.22 | 429 |
2 | Jakarta 프로젝트의 Regexp(정규식) 패키지 사용하기 | 황제낙엽 | 2007.01.22 | 285 |
1 |
PATTERN MATCHING (패턴 매칭)
![]() | 황제낙엽 | 2007.01.17 |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