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extra_vars6 |
L4/7 스위치란
- Packet을 목적지 까지 이동하는 개념은 라우터와 동일하나 목적지의 개념이 IP를 가진 Machine이 아니라 Application과 Contents 이다
- 부하분산과 이중화를 통해 Application Data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L7 Switch는 부하분산과 이중화를 통해 Application Contents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세션 유지 방법
Sticky Session
> A사용자가 처음 1번 세션을 생성한 경우 일정 시간의 timeout 동안 같은IP인 경우 해당 서버에 추가적인 연결을 시켜준다
Sticky Time
> 설정 시간내에 같은 IP를 물고오면 동일 서버로 로드밸런싱 하도록 하는 기능이며
> 예를들어 스티키 타임이 5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5분 내에 같은 IP로 들어오면 동일 서버로 통신되도록 한다
용어정리
Virtual IP – VIP
>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면 LB 되는 대표 IP로 L4/L7 SLB에 설정.
> 클라이언트는 Virtual IP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 (일반적으로 DNS 에 등록)
Virtual Port - Vport
> 클라이언트가 LB를 위해 접근하게 되는 VIP의 Service Port.
Real Server – RIP
> 실제 서비스를 할 서버들이 가지고 있는 IP, 필요에 따라서는 사설 IP로 구성 가능
Real Port – Rport
> 실제 서버들의 서비스 포트
Policy – Metric(Alteon), Predictor(Foundry), Schedule(Piolink)
> VIP:Vport 로 접근하는 트래픽을 서버에 분배하는 방식.
Group – Cluster, Binding
> 하나의 VIP 에 포함될 서버들의 묶음.
Pattern
> L7영역의 LB를 할 때 기준이 되면 패킷 헤더의 내용. L4영역은 패킷 헤더의 내용중 주소 필드를 참조하는데 반해 L7영역은 데이터 필드를 참조한다.
Entry
> LB 된 패킷에 대한 기록 정보.
> 세션의 연결유지에 사용되는데 세션 단위로 IP, service port, vlan 등에 대한 정보가 기록한다. L7SLB의 경우 Cookie, Session ID 등에 대한 것도 추가로 기록한다.
Sticky time
> Entry가 생성된 이후 패킷의 흐름이 없을 때 Entry가 유지되는 시간.
Failover(H/A)
> 동일한 동작을 하는 두대의 L4/L7 SW중 한대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한대가 그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기능. Active-Standby, Active-Standby Statefule, Active-Active 방식 등이 있다.
Max Connection
>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Connection 을 제한하여 사용자 증가시 서버의 서비스가 다운 되는 것을 막는 기능.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 | NTLMv1 | 황제낙엽 | 2021.08.31 | 382 |
4 | 특정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커맨드 명령어 | 황제낙엽 | 2021.06.11 | 152 |
» | L4 Sticky Session & Sticky Time | 황제낙엽 | 2020.07.31 | 586 |
2 |
[ngrok] localhost 개발서버를 외부에 잠시 오픈
![]() | 황제낙엽 | 2020.07.20 | 466 |
1 | 네트웍 패킷 분석 툴 | 황제낙엽 | 2009.11.10 | 3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