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https://ngrok.com |
---|---|
sitelink2 | |
sitelink3 | |
extra_vars6 |
ngrok는 내부서버(localhost)에서 작업 중인 내용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터널링을 열어주는 도구 (방화벽 설정이 필요없다)
<설치>
$ sudo npm install -g ngrok
- 삭제는 uninstall
- virtualbox나 vmware와 같은 가상환경인 경우
> 윈도우PC에서 가상환경에 리눅스를 설치한 경우 하드웨어가 x86이다
> npm명령어로 다운받아지는 ngrok은 arm cpu에서 구동되는 파일이므로
> 홈페이지(ngrok.com)의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x86용 실행파일로 다운받아야 한다
> 홈페이지Download페이지/more options/Linux 링크를 클릭하면 ngrok-stable-linux-amd64.zip을 다운받는다
>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usr/local/bin/ngrok 으로 파일을 이동시킨다
> root로 사용자를 변경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수행하여 다음의 위치에 링크를 생성해 둔다
> $ ln -s /usr/local/bin/ngrok /usr/local/lib/node_modules/ngrok/bin/ngrok
<인증>
$ ./ngrok authtoken [인증키]
- 인증키는 홈페이지에서 https://dashboard.ngrok.com/get-started/setup 페이지에 들어가면 본인의 인증키를 알려준다
해당 페이지는 회원가입을 해야만 접근이 가능하다
<실행>
$ ./ngrok http [로컬호스트의 포트번호]
- 예> ./ngrok http 8080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localhost의 포트를 외부에 80과 443포트로 터널링시킨다
다음의 주소가 외부에서 내부의 호스트 서버로의 접속 주소가 된다
- http://7a0fb30e0f72.ngrok.io
- https://7a0fb30e0f72.ngrok.io
무료 버전은 1분당 40개의 request만 처리 가능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 | NTLMv1 | 황제낙엽 | 2021.08.31 | 382 |
4 | 특정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커맨드 명령어 | 황제낙엽 | 2021.06.11 | 152 |
3 | L4 Sticky Session & Sticky Time | 황제낙엽 | 2020.07.31 | 586 |
» |
[ngrok] localhost 개발서버를 외부에 잠시 오픈
![]() | 황제낙엽 | 2020.07.20 | 466 |
1 | 네트웍 패킷 분석 툴 | 황제낙엽 | 2009.11.10 | 3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