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https://blog.naver.com/greedady/220509040130 |
---|---|
sitelink2 | |
sitelink3 | |
sitelink4 | |
sitelink5 | |
extra_vars6 |
1. 패키지(FPP)와 볼륨라이선스(Volume License)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는 크게 보면 2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바로 실물 미디어 형태로 공급되는 패키지(Full Packaged Product)와
주문확인서라 불리는 구매 인증문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는 볼륨라이선스(Volume License) 제품인데요.
일단 패키지(FPP) 제품은 수량이 적은 경우 도입하기 적합한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볼륨 라이선스는 5Copy라는 최소 주문 수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인데
이 수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라면 패키지(FPP)로 주문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반대로 수량이 많은 제품을 패키지(FPP)로 구매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패키지(FPP) 제품으로 다량으로 구매하게 되는 경우의 불편함을 덜어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바로 볼륨라이선스(Volume License)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 그럼 뭐가 좋고 뭐가 나쁜지 어디 한번 볼까요?
총 100개의 Office 제품을 구매한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구매 수량이 5copy를 넘기 때문에 FPP로도, 볼륨라이선스로도 구매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우선 패키지(FPP)로 구매한다면 제품을 보관할 있는 공간이 있어야겠죠?
100개를 보관하려면 꽤 튼튼한 수납장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ㅎ
또한 제품마다 서로 다른 KEY가 할당 돼 있어 각 PC에 제품을 설치할 때마다
각기 다른 패키지(FPP) 제품을 꺼내 설치한 뒤 KEY를 넣고 인증까지 받아야 합니다.
반대로 볼륨라이선스(Volume License)로 구매를 한다면 우선 제품 보관에 대한 부담은 덜 수 있습니다.
고객 입장에서는 "비싼 돈 주고 구매한 소프트웨어 제품인데 달랑 종이하나 주는 거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죠.
만약 주문확인서를 분실하게 되더라도 이 주문확인서는 구매처 혹은 총판을 통해 다시 전달 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인 제품 관리는 VLSC(Volume Licensing Service Center)라는 웹사이트를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 계약 정보만 등록하면 인터넷이 연결된 곳에서 언제든 편하게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MAK(Multiple Activation Key)를 통한 인증이 진행되기 때문에 동일한 KEY로 모두 인증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패키지(FPP)의 장점은 없는 거냐구요? 찾아보면 한 가지 있습니다.
그건 바로 End-User 정보를 토대로 계약으로 구매하는 볼륨라이선스와 달리
End-User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의 양도 양수에 큰 제한 사항이 없다는 점입니다.
물론 미디어, 미디어보관 BOX, 인증 KEY 이 세 가지 중 어떤것을 분실하더라도 다시 제공받을 수 없다는 점은
패키지(FPP) 제품의 가장 큰 단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볼륨라이선스의 종류
마이크로소프트 볼륨라이선스(Microsoft Volume License)는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로 구분됩니다.
아래 세 가지 타입은 모두 볼륨라이선스 형태로 제공되지만 각 형태별로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을 갖습니다.
1) OPEN : 비전사계약 / 5Copy 이상 구매 가능 / 일시불 / 영구 라이선스 / L 또는 L&SA로 구분
2) OPEN Value(OV) : 전사계약 / 분할 납부(3년/5년) / 분할납부 종료 후 영구라이선스 보유 / SA혜택 적용
3) OPEN Value Subscription(OVS) : 전사계약 / 분할납부(3년/5년) / 계약종료 후 보유 라이선스 없음 / SA혜택 적용
자 일단 마이크로소프트 볼륨라이선스(Volume License)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우선 L(License)와 SA(Software Assurance)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뭐 간단히 설명하자면 L은 기본적으로 구매하는 제품에 대한 영구 사용권을 보장하는 개념이구요.
SA는 이후 출시되는 신규 버전에 대한 업그레이드 지원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특이한 점이 하나 있다면 이 SA라는 부분만 별도로 구매할 수 없다는 점인데요.
최초 제품을 구매할 때 L+SA로 구매를 한 경우에만 SA를 2년 단위로 연장해서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 OPEN 주문번호 유효기간 : 2년
- SA기간 : 2년
OPEN 주문번호 유효기간이라는 표현을 섰는데요.
이 유효기간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조금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겠지만,
이 부분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규정하고 있는 라이선스 구매 규정 중 한 가지 입니다.
바로 OPEN 라이선스 최초 구매한 시점부터 2년 이내는
최소수량 5Copy에 관계없이 1개든 4개든 라이선스로 구매가 가능하다는 내용입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Software Development Trend (with Java) | 황제낙엽 | 2024.01.19 | 592 |
12 | [Gemini] server 에서 client 의 function call 를 위한 방안과 특징 | 황제낙엽 | 2025.01.03 | 53 |
» |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의 라이선스 - 패키지(FPP)와 볼륨라이선스(Volume License) | 황제낙엽 | 2018.04.12 | 173 |
10 |
윈도우10 FPP,OEM,DSP,ESD 라이선스
![]() | 황제낙엽 | 2017.10.24 | 360 |
9 |
Atom(에디터)
![]() | 황제낙엽 | 2017.08.31 | 393 |
8 |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기 위한 Access ID 발급 방법 | 황제낙엽 | 2016.12.05 | 120 |
7 | 비주얼 스튜디오 단축키 모음 | 황제낙엽 | 2012.12.04 | 121 |
6 |
아웃룩(Outlook 2010) 메일 보관 경로(.pst) 변경과 백업/복구
![]() | 황제낙엽 | 2009.12.28 | 577 |
5 | 웹브라우저에서 FTP서버에 접속하기 | 황제낙엽 | 2009.01.06 | 120 |
4 | (DNS서버구축) reverse zone 파일 설정 | 황제낙엽 | 2008.06.19 | 179 |
3 | (DNS서버구축) zone 파일 설정 | 황제낙엽 | 2008.06.19 | 121 |
2 | (DNS서버구축) named.conf 작성법 | 황제낙엽 | 2008.06.19 | 112 |
1 | ERP와 Legacy와의 차이점 | 황제낙엽 | 2005.11.15 | 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