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https://cafe.naver.com/mongodatabase/3024 |
---|---|
sitelink2 | |
extra_vars5 | |
extra_vars6 |
Redis DB는 대표적인 KeyValue Database 제품 중에 하나입니다.
또한 Pure In-Memory DBMS이기도 합니다.
간혹 혹자들은 Redis는 In-Memory DB라고 표현하는데 이것은 올바른 표현 방법은 아닙니다.
DBMS는 데이터 저장 구조와 모델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분류하는데 이 경우 RDB, ORDB, OODB, HDB, NDB
그리고 Document DB, KeyValue DB, ColumnFamily DB, Graph DB라고 분류합니다.
데이터 구조와 모델과 관계없이 File기반 DBMS와 In-Memory 기반 DBMS로 분류할 수 도 있는데 이것은
물리적인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운영 방법에 따른 분류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Redis는 KeyValue DB이자 In-Memory DB 유형에 해당하는 제품입니다.
MongoDB를 사용자들 중에 일부는 MongoDB와 Redis를 함께 연동하여 사용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습니다.
이것은 순수 In-Memory 기반 DB인 Redis를 데이터 통계, 집계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해 사용 했었습니다.
최근에는 MongoDB도 순수 In-Memory 저장엔진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인 Redis를 함께 연동할 필요성이 없어졌습니다.
다음은 Redis의 기본 아키텍처 입니다.
위 Redis 아키텍처는 다음과 깉은 구성요소로 생성됩니다.
1)프로세스 :
- Redis-cli.exe : Redis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요구되는 Client용 SW
- Redis-Server.exe : Redis 서버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사용되는 SW
- Redis-sentinel.exe : 복제 서버를 구축할 때 Master와 Slave 간에 Fail-Over와 Load-Balance를 담담하는 SW
2) 메모리 :
- Residence-영역 : 데이터를 처리할 떄 실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
- Data Structure 영역: 데이터 처리시 관련 메타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 영역
3) 파일 :
- dump 파일,aof 파일 :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필요에 따라 디스크 상에 파일로 저장할 때 사용되는 파일
앞서 설명했던 것처럼 Redis는 순수 In-Memory 기반 DB이지만 필요에 따라 중요한 데이터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파일로 생성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Redis 기본 매커니즘이 아니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환경 설정에 의해 가능해집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 |
PostgreSQL 을 위한 docker pgAdmin 설치
![]() | 황제낙엽 | 2024.02.01 | 77 |
7 |
@Cacheable (Redis) 의 장애 대응용으로 Hystrix 사용
![]() | 황제낙엽 | 2022.09.17 | 75 |
» |
Redis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
![]() | 황제낙엽 | 2020.06.19 | 180 |
5 | SQLite database | 황제낙엽 | 2019.09.05 | 848 |
4 | Using the H2 Database Sequence | 황제낙엽 | 2011.03.23 | 249 |
3 | Using the H2 Database CSVREAD with a sequence ID Column | 황제낙엽 | 2011.03.23 | 312 |
2 |
Pure Java DB (H2 Database)
![]() | 황제낙엽 | 2010.09.27 | 329 |
1 | 엔티티타입 선정 방법 (작성중) | 황제낙엽 | 2008.04.01 | 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