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link1 | |
---|---|
sitelink2 | |
sitelink3 | |
extra_vars4 | |
extra_vars5 | |
extra_vars6 |
시작하기
이 튜토리얼을 위한 개발환경을 설정한다.
튜토리얼을 위한 개발환경 설정은 비교적 쉽다. 아래 예제를 따라하면 된다. 사용하는 운영체제나 브라우저가 Dojo 툴킷이 지원하는 것이라면 아래 내용대로 하면 된다.
- Dojo 툴킷 zip 파일을 http://dojotoolkit.org/에서 다운로드한다.
- 튜토리얼용 폴더를
C:tutorial
등의 형태로 만든다. - Dojo zip 파일을 새로 만들어진 폴더에 압축을 푼다(예:
C:tutorialdojo-0.3.1-ajax
). - 특정 버전의 Dojo 폴더의 이름을
dojoAjax
로 바꾼다(예를 들어C:tutorialdojo-0.3.1-ajax
를C:tutorialdojoAjax
로 바꾼다).
이 튜토리얼의 예제 코드는 파일 세 개인데 이 파일들은 적절히 만들고 수정해야 한다. 튜토리얼을 읽으면서 예제 코드를 접할 것이다. 지금은 간단히 비어 있는 파일을 만들고 아래의 위치에 둔다(이클립스는 파일마다 적절한 탭을 제공한다. 하지만 메모장을 써도 무방하다).
test.html
C:tutorialtest.html
dojoAjax/src/widget/HelloWorld.js
C:tutorialdojoAjaxsrcwidgetHelloWorld.js
dojoAjax/src/widget/template/HtmlHelloWorld.html
C:tutorialdojoAjaxsrcwidgettemplateHtmlHelloWorld.html
![]() |
|
예제 코드를 접하면 적당한 파일에다 코드를 복사해 붙여넣는다. 그런 후 브라우저에서 test.html 파일을 연다. 파일을 저장한 후 브라우저를 새로 고치면 결과로 만들어진 위젯을 볼 수 있다(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시 고침을 해야 캐시를 무시한다는 것을 명심하라. 캐시 문제에 대해서는 이 튜토리얼의 뒷 부분에서 다룰 예정이다).
이 튜토리얼의 예제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문제(브라우저에 위젯이 그려지지 않는 상황)를 경험한다면 dojo.require("dojo.widget.*");
를 test.html이나 HelloWorld.js에 추가하면 된다. 필자는 이 문제를 재현하지 못했으므로 튜토리얼 예제 코드에는 이 줄이 추가되어 있지 않다.